안녕하세요 비즈니스 인사이트 바물입니다. 최근 SKT유심 개인정보 유출 관련하여 무상 유상 교체 서비스를 진행합니다.
해당 관련해서 유심 교체 정보와 SKT 주가 분석까지 궁금하신 분들은 끝까지 읽어 주세요
SK텔레콤(SKT)이 2025년 4월 28일부터 전 가입자를 대상으로 유심(eSIM 포함) 무상 교체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이는 4월 19일 발견된 유심 정보 유출 해킹 사태에 대한 후속 조치로, 알뜰폰 고객 포함, 자비 교체자 소급 환급까지 포함한 파격 대응입니다. SKT 주가(017670)는 해킹 소식 후 변동성을 보였으나, AI·6G 투자와 배당 매력으로 장기 전망은 긍정적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유심 교체 서비스 상세와 SKT 주가 분석, 2025년 투자 전망을 정리합니다.
SK텔레콤 유심 무상 교체 서비스 상세 안내
SK텔레콤은 4월 19일 오후 11시경 홈가입자서버(HSS)에 악성코드 침투로 유심 정보(IMSI, IMEI, 인증키) 유출 정황을 확인했습니다. 유출 규모는 조사 중이나, ‘심 스와핑’(유심 복제로 자산 탈취) 우려로 고객 불안이 커졌습니다. 이에 SKT는 4월 28일 오전 10시부터 전국 T월드 매장과 공항 로밍센터에서 유심 무상 교체를 실시합니다. X에서 @ssoap_d는 “알뜰폰 고객도 지원, 기존 교체자 환급”이라며 긍정적 반응을 전했습니다.
서비스 주요 내용
- 대상: SKT 전 가입자(2,300만 명) 및 SKT 망 사용 알뜰폰 고객(14개 MVNO). 알뜰폰 상세 일정은 각 업체 공지 예정.
- 시작 시점: 2025년 4월 28일 오전 10시, 전국 T월드 매장·공항 로밍센터.
- 소급 환급: 4월 19~27일 자비 교체 고객(유심당 7,700원) 대상 별도 환급. X에서 @Y0UR_Abysse는 “환급 포함 공지로 신뢰 회복”이라 평가.
- 예약제: 초기 고객 밀집 시 당일 교체 불가 경우 예약 후 추후 교체. 공항은 처리 시간 추가 소요, 여유 방문 권고.
- 비용 추정: 2,300만 명 전원 교체 시 약 230억 원(유심당 1만 원 추정).
보안 강화 조치
- 유심보호서비스: 타인 유심 복제 차단, 해외 로밍 제한. 4월 23일 기준 161만 명 가입, 상반기 내 로밍 호환 시스템 고도화 예정.
- FDS 강화: 비정상 인증 시도 차단 시스템(FDS) 업그레이드, 실시간 모니터링. 2023년 8월 FDS 도입 후 복제 유심 피해 0건.
- 사이버 침해 전담센터: 24시간 운영(☎080-800-0577), 114 고객센터 운영시간 연장(오전 9시~오후 8시).
- 디지털 취약 계층 지원: 노인 등에 114 전화 안내 및 가입 대행.
SKT는 “최고 수준 보안 기준과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불법 유심 복제 방지”라며, 유영상 사장이 4월 20일 긴급 회의에서 “신속·솔직한 대응”을 지시했다고 밝혔습니다. X에서 @jimin1730은 “귀찮아도 교체 권장”이라며 공익 트윗을 공유했습니다.
해킹 사태 배경
해킹은 약 1년 전 VPN 취약점 공격으로 악성코드가 HSS에 은닉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이버 보안 업체 시그니아는 중국 ‘위버 액트’ 수법 유사성을 지적했으며, 북한·중국 조직적 개입설도 제기됐습니다. SKT는 4월 20일 KISA, 4월 22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신고, 과기정통부 비상대책반 조사에 협조 중입니다. 현재 다크웹 유통이나 악용 사례는 없으나, ‘심 스와핑’(2022년 가상자산 탈취 사례) 가능성으로 이용자 불안이 확산됐습니다.
SK텔레콤 주가 분석
SK텔레콤(017670) 주가는 해킹 소식(4월 22일) 후 변동성을 보였으나, AI·6G 투자와 안정적 배당으로 장기 전망은 긍정적입니다. 2025년 4월 25일 오후 1시 50분(KST) 기준 주가는 54,400원(-0.91%)으로, 코스피 대비 안정적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주가 흐름
- 최근 동향:
- 4월 19일(해킹 인지): 55,000원.
- 4월 22일(공개): 53,800원(-2.18%, 공지 후 하락).
- 4월 24일: 54,900원(+2.04%, 유심보호서비스 호응).
- 4월 25일: 54,400원(-0.91%, 소폭 조정).
- 1년 성과: 2024년 4월 47,500원 → 2025년 4월 54,400원, YTD +14.5%. 코스피(+5.2%) 상회.
- 기술적 분석:
- 지지·저항선: 지지선 52,000원(50일 이동평균), 저항선 56,000원(1월 고점).
- RSI: 48, 중립 구간으로 추가 하락 리스크 낮음.
- 거래량: 4월 22~24일 평균 120만 주, 전월比 15% 증가.
재무 및 밸류에이션
- 2024년 실적: 매출 17.8조 원(+3.2% YoY), 영업이익 1.9조 원(+8.5% YoY). AI·데이터센터 부문 매출 15% 기여.
- 2025년 전망: 매출 18.3조 원(+2.8% YoY), EPS 5,200원(5월 8일 1분기 발표 예정). 월가 전망(18.1조 원) 상회.
- 밸류에이션:
- P/E 비율 10.5, 업계 평균(12) 대비 저평가.
- P/B 비율 1.2, 안정적.
- 배당수익률 6.1%(주당 3,320원), 코스피 상위권.
- 월가 목표가 62,000원(+14% 상승 여력), 투자의견: 매수 12, 보유 3.
주가 영향 요인
긍정적 요인
- 유심 무상 교체: 230억 원 비용 발생이나, 고객 신뢰 회복과 법적 리스크 감소. LG유플러스(2023년 해킹, 과징금 68억 원) 대비 적극 대응.
- AI·6G 투자: AI 데이터센터(2024년 매출 2,600억 원, +25% YoY), 6G 시범망 구축으로 성장 기대.
- 배당 매력: 안정적 현금흐름(FCF 1.2조 원)으로 배당 지속 가능.
부정적 요인
- 해킹 리스크: 추가 유출(주민등록번호 등) 확인 시 주가 하락 가능. 과기정통부 조사 결과(시정명령, 과징금) 주목.
- 보안 투자 부담: 2024년 보안 예산 600억 원(-4% YoY, KT 1,218억 원 대비 저조). 추가 투자 필요.
- 경쟁 심화: KT, LG유플러스의 5G·AI 서비스 경쟁.
전망: 단기적으로 해킹 조사 결과와 유심 교체 비용(230억 원)으로 변동성 예상. 중장기적으로 AI·6G 성장과 배당 매력으로 60,000원 돌파 가능. 신한투자는 “보안 투자 확대로 신뢰 회복 시 65,000원”이라 전망했습니다.
투자 및 이용자 전략
이용자
- 유심 교체: 4월 28일 T월드 방문, 신분증 지참. 공항은 시간 여유 확보.
- 유심보호서비스: T월드 앱으로 즉시 가입, 심 스와핑 방지.
- 보안 조치: 유심 PIN 설정, 가상자산 투자자는 2FA 강화.
투자자
- 분할 매수: 주가가 지지선(52,000원) 근처 조정 시 매수.
- 모니터링: 5월 8일 1분기 실적과 과기정통부 조사 결과 확인.
- 배당 투자: 6.1% 배당수익률 활용, 장기 보유 전략.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이자(PFE) 2025년 주요 이슈와 주가 분석 관세 위협과 신약 전망 (1) | 2025.04.25 |
---|---|
팔란티어(PLTR) 주가 15% 급등 나토 계약과 기술적 반등의 힘 (1) | 2025.04.25 |
인도-파키스탄 무역 중단 2025년 카슈미르 테러와 외교적 갈등 분석 (1) | 2025.04.25 |
팔란티어(PLTR) 주가 급등 나토 AI 시스템 채택과 2025년 전망 (0) | 2025.04.25 |
메가존클라우드 X 아이온큐 양자컴퓨팅으로 아시아 시장 공략, IonQ 주가 전망은? (1)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