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크래프톤 2025 1분기 사상 최대 실적과 주가 전망 분석
크래프톤(259960)이 2025년 1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게임산업 선두주자로 자리 잡았습니다. 연결 기준 매출 8,742억 원, 영업이익 4,57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1.3%, 47.3% 성장했으며,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입니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의 현지화 전략, 신작 inZOI의 글로벌 흥행, 메가 IP 투자 계획이 주효했습니다. X에서 @minimap_net은 “크래프톤, 1분기 매출 8,742억 원 달성”이라며 시장의 뜨거운 반응을 전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크래프톤의 1분기 실적, 최근 이슈, 주가 분석, 투자 전망을 정리합니다.
크래프톤 2025년 1분기 실적과 주요 이슈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 IP의 지속 성장과 신작 inZOI의 흥행으로 모든 플랫폼(PC, 모바일, 콘솔)에서 고른 성장을 달성했습니다.
1. 1분기 실적: 사상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
- 실적: 매출 8,742억 원(+31.3% YoY), 영업이익 4,573억 원(+47.3% YoY), 순이익 3,715억 원(+6.6% YoY).
- 부문별 매출: 모바일 5,324억 원(60.9%), PC 3,235억 원(37%), 콘솔·기타 183억 원(2.1%). 모바일은 BGMI의 인도 시장 성장, PC는 inZOI와 PUBG 콘텐츠 업데이트가 견인.
- 영업이익률: 52.3%, 업계 최고 수준(넷마블 5.1%, 엔씨소프트 -2.4%).
- 성과 요인: BGMI의 마힌드라 협업과 프리미엄 아이템 전략, inZOI의 얼리 액세스 100만 장 판매(3월 28일 출시, 해외 비중 95%).
X에서 @millkhpluskr는 “‘배그가 끌고 inZOI가 밀고’ 크래프톤 역대 최대 실적”이라며 IP 다각화 성공을 강조했습니다.
2.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와 장송의 프리렌 콜라보
- BGMI 성장: 인도 시장에서 현지화 콘텐츠(마힌드라 협업, 크리켓 IP 확보)와 프리미엄 아이템으로 사상 최대 매출. 3월 동시접속자 140만 명 돌파.
- 장송의 프리렌 콜라보: 애니메이션 ‘장송의 프리렌’과의 협업으로 한정판 스킨·아이템 출시, 팬층 확대. 2024년 뉴진스 콜라보 성공(MAU +40%)에 이은 전략.
- 영향: BGMI의 인도 DAU 30% 증가, 모바일 매출 60.9%로 전체 실적 견인.
3. 신작 inZOI 흥행과 AI 기술
- inZOI 성과: 3월 28일 얼리 액세스 출시, 일주일 만에 100만 장 판매(95% 해외). 크래프톤 IP 중 최단기 흥행 기록.
- AI 기술: 엔비디아와 협력한 CPC(Co-Playable Character)와 스마트 조이(Smart Zoi) 기술로 NPC 상호작용 혁신. 오픈AI와의 SLM(소형언어모델) 협업으로 클라우드 기반 CPC 개발 중.
- 전망: inZOI를 장기 서비스 Big 프랜차이즈 IP로 육성, 2025년 하반기 정식 출시 예정.
4. 신작 라인업: 미메시스, 스케빈저 톰, 기타
- 미메시스: 렐루게임즈 스튜디오의 공포 협동 게임, 2025년 하반기 출시 예정. 트레일러 공개로 기대감↑.
- 스케빈저 톰: 로봇 청소기 테마의 캐주얼 게임, 독창적 콘셉트로 틈새시장 공략.
- 기타 신작: 다크앤다커 모바일, 서브노티카 2, 딩컴 투게더 등 2025년 5종 이상 출시.
- 영향: 신작 다각화로 배틀그라운드 의존도(매출 70% 이상) 완화 기대.
5. 메가 IP 투자와 넵튠 인수
- 투자 계획: 장병규 의장, 조 단위 투자로 메가 IP 확보 목표. 5년 내 매출 7조 원, 시총 2배(현재 18.7조 원) 계획.
- 넵튠 인수: 4월 29일 카카오게임즈의 넵튠 지분 39.39%(1838만 주) 전량 취득, 최대주주 등극. 모바일 퍼블리싱 강화. X에서 @AntNewspaper.
- 영향: 신규 IP와 퍼블리싱 역량 확대로 장기 성장 동력 확보.
크래프톤 주가 분석
크래프톤 주가는 2024년 실적 호조와 inZOI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공모가(49.8만 원) 회복은 미지수입니다. 2025년 4월 28일 주가는 37.5만 원(-0.66%)으로 추정됩니다.
주가 흐름
- 최근 동향:
- 4월 24일: 38만 원(+2.15%).
- 4월 25일: 37.8만 원(-0.53%).
- 4월 28일: 37.5만 원(-0.66%, 실적 발표 전 관망).
- 1년 성과: 2024년 4월 25만 원→2025년 4월 37.5만 원, YTD +50%. 코스피(+5.2%) 상회.
- 기술적 분석:
- 지지·저항선: 지지선 35만 원(50일 이동평균), 저항선 40만 원(2024년 고점).
- RSI: 55, 중립 구간으로 상승 여력 존재.
- 거래량: 4월 평균 120만 주, 실적 발표 후 20% 증가.
재무 및 밸류에이션
- 2024년 실적: 매출 2.71조 원(+41.8% YoY), 영업이익 1.18조 원(+54% YoY).
- 2025년 전망: 매출 3.5조 원(+29% YoY), 영업이익 1.5조 원(+27%), inZOI 정식 출시와 신작 효과. 삼성증권 추정 매출 3.8조 원.
- 밸류에이션:
- P/E 비율: 16.5(업계 평균 20), 저평가 논의.
- P/B 비율: 3.2(업계 평균 2.5), 성장 기대감 반영.
- 배당수익률: 0%(배당 미지급, 투자 재원 집중).
- 목표가: 삼성증권 45만 원(+20% 상승 여력), NH투자증권 42만 원. 투자의견: 매수 7, 보유 2.
- 시가총액: 18.7조 KRW, 게임업종 2위(넥슨 30조 원).
주가 전망과 투자 전략
크래프
톤은 배틀그라운드의 안정적 매출과 inZOI 흥행, 신작·IP 투자로 장기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삼성증권은 “inZOI와 신작 모멘텀으로 주가 우상향”이라 전망했습니다.
기회
- 실적 성장: 2025년 매출 3.5조 원 전망, inZOI 정식 출시(하반기)로 추가 모멘텀.
- IP 다각화: 미메시스, 스케빈저 톰, 넵튠 인수로 배틀그라운드 의존도↓, 메가 IP 확보 가속.
- 글로벌 확장: BGMI 인도 시장(DAU +30%), inZOI 해외 매출 95%로 글로벌 경쟁력↑.
리스크
- 신작 변동성: 미메시스, 서브노티카 2 등 신작 실패 시 주가 조정 가능. 2020년 ELYON 서비스 종료 사례 참고.
- 중국 규제: 중국 게임 규제 강화로 모바일 매출(60.9%) 타격 가능.
- 투자 부담: 연 3,000억 원 개발비, 조 단위 IP 투자로 단기 수익성 하락 우려.
투자 전략
- 분할 매수: 주가 35만 원 이하(지지선) 조정 시 매수로 변동성 관리.
- 모니터링: 5월 7일 1분기 실적 발표와 inZOI 사용자 피드백, 미메시스 트레일러 반응 확인.
- 장기 투자: 2025년 신작 5종 출시와 메가 IP 성과로 목표가 45만 원 도달 기대.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웅진그룹 2025년 프리드라이프 인수 분석! 8830억원 M&A로 상조시장 진출, 주가 분석 (0) | 2025.04.30 |
---|---|
더본코리아 2025년 논란 분석! 원산지 허위 광고, 농지법 위반, 덮죽 시정 명령, 술자리 면접 의혹으로 주가 급락! (0) | 2025.04.29 |
효성화학 2025년 최신 이슈 분석! 특수가스 매각(9200억 원), 부채비율 9779%, 주가 전망 (0) | 2025.04.29 |
2025년 국민의힘 대권 주자 지지도 분석! 김문수, 홍준표, 한동훈 등 여론조사 결과와 관련 테마주 (1) | 2025.04.29 |
산업은행 한화오션 지분 매각(19.5%) 발표 2025년 4월 28일 블록딜 영향으로 주가 변동성 상승 한화오션 주가 분석과 투자 전망 확인하세요 (1) | 2025.04.29 |